일반적으로 침이 생성되는 속도가 느려질 때, 입이 마르는 증상으로 알려진 구강 건조증이 발생합니다. 이로 인해 말하기가 곤란해지고, 목이 아프며 아무리 물을 많이 마셔도 갈증을 해소하기 어려워집니다. 또한 이러한 문제가 지속되면 입 냄새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. 자연적인 침은 입안의 음식 찌꺼기와 세균을 청소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. 침이 이러한 기능을 잃게 되면 세균과 음식 찌꺼기가 입 속에서 분해되면서 불쾌한 냄새가 나기 시작합니다.
구강 건조증에는 많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. 혈압약, 항히스타민제, 항우울제, 이뇨제와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 소염제를 포함하는 일부 치료제의 경우 침의 생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. 방사선 치료, 침샘 질환, 당뇨병, 구강 호흡, 수면 무호흡증 및 특정 자가 면역 질환도 마찬가지입니다. 폭식증과 거식증 등의 섭식 장애, 또는 임신 또는 수유중인 여성의 경우에는 탈수 증상이나 호르몬 변화로 인해 구강 건조증을 겪을 수 있습니다. 다른 요인으로는 스트레스, 불안과 우울증등이 있습니다. 구강 건조증을 치료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치아 부식, 충치, 음식 먹거나 발음하기 어려운 증상 및 치아를 잃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.
그러나 이 같은 구강 건조증의 부작용을 해결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. 무설탕 껌을 씹으면 지나치게 많은 당분으로 치아를 뒤덮지 않으면서 침샘을 자극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 또 다른 대안으로는 세균을 죽이고 음식 찌꺼기를 제거하며 입안을 촉촉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강 세정제로 가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 이 밖에도 구강 건조증을 위한 또 다른 간단한 개선 방법으로는 카페인 섭취를 제한하고 물을 많이 마시는 습관 등이 있습니다.